맨위로가기

올림픽 중화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중화민국 선수단은 중화민국이 올림픽에 참가한 역사를 다룬다. 1924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으나 정식 선수단은 아니었고, 1932년 하계 올림픽부터 정식으로 참가했다. 1948년 하계 올림픽까지 '중국' (CHN)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으며, 1956년부터 '중화민국 (ROC)' 또는 '포르모사 (RCF)' 등의 이름으로 참가했다. 1979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중화인민공화국(PRC)과 중화민국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를 모두 인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1984년 하계 올림픽부터는 올림픽 중화 타이베이 선수단 (TPE)으로 참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중화민국 선수단
올림픽 중화민국 선수단
중화민국 국기
국기
NOC중국 전국 아마추어 운동 연맹 (1922–1949)
NOC 이름중국 전국 아마추어 운동 연맹 (1922–1949)
NOC 웹사이트https://www.tpenoc.net/info/%7C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올림픽 참가 정보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5회 (1924, 1928, 1932, 1936, 1948)
관련 참가국중국 (1952, 1980~)
중화 타이베이 (1984~)

2. 올림픽 참가 역사

중화민국의 올림픽 참가는 중국 대륙대만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며 변화해왔다. 1924년 하계 올림픽에 비공식적으로 참가한 기록이 있으며,[15][16][5][6] 1932년 하계 올림픽부터 '중국'(China영어, CHN)이라는 이름으로 공식 참가했다. 당시 대만대만일치시기일본 제국의 일부로서 올림픽에 참가했다.[1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만이 중화민국에 편입되었고, 1948년 하계 올림픽까지는 단일 '중국'(CHN) 선수단으로 참가했다. 그러나 국공 내전의 결과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고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이전하면서 올림픽 참가 자격을 둘러싼 문제가 발생했다. 1952년 하계 올림픽에는 양측 모두 초청받았으나, 중화민국은 이에 항의하며 불참했고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대회에 늦게 도착했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하나의 중국 원칙을 주장하며 1956년 하계 올림픽부터 1976년 하계 올림픽까지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았다. 반면, 대만중화민국은 이 기간 동안 국제 정세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결정에 따라 '중화민국'(ROC 또는 CHN), '포르모사'(RCF), '대만'(TWN) 등 다양한 이름으로 참가를 이어갔다.[15][16][5][6]

1979년 IOC는 나고야 결의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8] 이 결의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China, CHN)으로, 타이베이에 본부를 둔 올림픽 위원회는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영어, TPE)라는 명칭과 함께 IOC가 승인한 별도의 올림픽 기와 국가를 사용하며 참가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9] 이 합의에 따라 1984년 하계 올림픽부터 중화민국은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

2. 1. 초기 참가 (1924년 ~ 1948년)

중화민국1924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대표를 파견하였으나, 이는 정식 선수단은 아니었다.[15][6] 당시 기록에는 Chinefra라는 이름으로 표기되었다.[16][5] 1932년 하계 올림픽부터 중화민국은 공식적으로 선수단을 파견하기 시작했으며, 이때부터 '중국'(Chinaeng)이라는 명칭과 국가 코드 'CHN'을 사용하였다. 1936년 하계 올림픽1948년 하계 올림픽까지 이 명칭을 유지하며 참가했다.

한편, 이 시기 대만대만일치시기에 해당하여 일본 제국의 일부로서 올림픽에 참가하였다.[17]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대만이 중화민국에 편입되었지만, 1948년 하계 올림픽까지는 '중국'(CHN) 단일팀으로 참가하는 형태가 유지되었다.

2. 2. 분단과 갈등 (1952년 ~ 1976년)

국공 내전 이후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이전하면서 올림픽 참가 문제는 정치적 갈등의 대상이 되었다.

1952년 헬싱키 하계 올림픽에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 양측 모두를 초청했다. 그러나 중화민국은 이에 항의하며 대회 개막 직전에 불참을 선언했다.[15][16]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대회에 참가했으나, 늦게 도착하여 실제 경기에는 거의 참여하지 못했다.

1956년 멜버른 하계 올림픽부터 중화민국은 올림픽에 다시 참가하기 시작했다. 당시 중화민국은 '중화민국 (Republic of China, ROC)'[5][6] 또는 '중화민국 (CHN)'[15][16]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반면,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우며 중화민국의 참가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1956년 올림픽부터 1976년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까지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이후 중화민국은 올림픽 참가 시 사용하는 명칭에 계속 변화를 겪었다.

이 기간 동안 중화민국은 국제 사회에서의 외교적 고립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압력 속에서 올림픽 참가를 둘러싼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2. 3. 나고야 결의와 중화 타이베이 (1979년 ~ 현재)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 중화민국 선수단의 공식 참가가 거부된 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1979년 4월 중화인민공화국(PRC)과 중화민국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를 모두 인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7] 이후 IOC 집행위원회는 구체적인 참가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1979년 10월, IOC 집행위원회는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회의에서 소위 '나고야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 결의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8]

이 결의안은 킬라닌 경 당시 IOC 위원장이 IOC 위원들에게 우편 투표에 부쳐, 찬성 62표, 반대 17표, 기권 2표로 통과되었다.[9]

나고야 결의안은 올림픽 헌장에서 '국가'라는 용어가 '지리적 영역, 구역 또는 영토'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해석을 근거로[8], PRC와 중화민국이 올림픽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이는 중화민국이 올림픽 활동에서 중화민국의 존재나 주권 국가로서의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국기, 국가 등)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조치였다.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의 엠블럼


중화민국 NOC 위원이자 IOC 위원이었던 쉬헝은 나고야 결의안을 인정하지 않고 1979년 IOC에 결의안 무효 소송을 제기하는 등 반발이 있었다.[10] 이러한 분쟁은 IOC와 중화민국 NOC가 1981년에 협정을 체결하면서 해결되었다.[11] 이 협정에 따라 중화민국 NOC는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라는 명칭으로 IOC에 인정받고 다른 NOC와 동등한 자격으로 활동하는 데 동의했다.

그 결과, 중화민국은 1984년 하계 올림픽부터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영어) 약칭 TPE)라는 이름과 함께 매화기(梅花旗)로 불리는 별도의 올림픽 기와 올림픽 국가를 사용하여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1997년 IOC 헌장이 개정되어 '국가'라는 용어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독립 국가'로 정의했지만,[8] 1996년 IOC 총회 결정에 따라 기존 NOC의 인정은 소급하여 철회되지 않아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는 IOC 내에서 기존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마카오의 경우와 비교될 수 있는데, 홍콩 올림픽 위원회는 1951년부터 인정받아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12] 마카오 올림픽 위원회는 독립 국가가 아니라는 이유로 IOC의 정식 회원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13]

2. 3. 1. '중화 타이베이' 명칭 논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1979년 나고야에서 열린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소위 '나고야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은 중화인민공화국(PRC)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를 중국 올림픽 위원회로 인정하고, 타이베이에 본부를 둔 위원회는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되, 기존에 사용하던 중화민국의 국기와 국가 대신 IOC의 승인을 받은 새로운 상징을 사용하도록 규정했다.[8] 이 결의안은 우편 투표를 통해 IOC 위원들의 승인을 받았다.[9]

나고야 결의안은 공식적으로 영어와 프랑스어로 작성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Chinese Taipei'라는 명칭은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들어졌다. 'Chinese'라는 단어는 주권 국가로서의 '중국'(China영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문화적 의미의 '중국'(Chinese영어)을 의미할 수도 있었다.[8] 이 모호성 때문에 중화민국(ROC)과 중화인민공화국(PRC)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 명칭을 번역했다. 중화민국은 'Chinese Taipei'를 '중화 타이베이'(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로 번역하여 '중화'(中華)라는 표현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려 했다. 반면, 중화인민공화국은 이를 '중국 타이베이'(中國臺北|중궈 타이베이중국어)로 번역하여, 타이완을 중국의 일부로 간주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강조하고자 했다.[8]

두 국가가 제3국에서 열리는 대회에 함께 참가할 때는 개최국의 언어로 표기되므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 아시안 게임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에서 개최되면서 명칭 번역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중화민국은 '중국 타이베이'(中國臺北|중궈 타이베이중국어)라는 번역이 자신들이 중국의 일부임을 직접적으로 암시한다며 이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14] 허전량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IOC 위원에 따르면,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민국의 명칭이 두 개의 중국이나 하나의 중국, 하나의 대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 동의했다.[14] 결국 1989년, 양측 올림픽 위원회는 홍콩에서 협약을 맺고,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 개최되는 국제 스포츠 행사에서는 중화민국 측의 번역인 '중화 타이베이'(中華臺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를 사용하기로 합의했다.[14]

3. 역대 메달 집계

중화민국1924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선수단을 파견하였으나, 초기 참가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이후 몇 차례의 올림픽에 더 참가하였지만 메달권에 들지 못하다가, 1960년 하계 올림픽에서 양촨쾅 선수가 남자 육상 10종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기록했다. 다음 메달은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 여자 육상 80m 허들 종목에 출전한 지정 선수가 획득한 동메달이었다.

동계 올림픽에는 1972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하였으나, 중화민국이라는 이름으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1970년대 들어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내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참여 문제와 관련된 정치적 논란이 불거지면서, 중화민국은 1976년 하계 올림픽1980년 하계 올림픽, 1980년 동계 올림픽에 불참하였다. 이후 IOC와의 협상을 통해 1984년 동계 올림픽부터는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게 되었다.

중화민국 선수단이 '중화민국'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던 기간(1924년 ~ 1972년 하계, 1972년 ~ 1976년 동계) 동안 획득한 메달은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 2개이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자세한 대회별 메달 집계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wikitext


3. 2.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wikitext


참조

[1] 웹사이트 奧會簡介 https://www.tpenoc.n[...] 2022-07-11
[2] 서적 Les Jeux de la VIIIe Olympiade Paris 1924 – Rapport Officiel http://www.la84found[...] Librairie de France 2012-10-16
[3] 웹사이트 X Olympiad Los Angeles 1932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2022-07-11
[4] 논문 The "Two-Chinas" Problem and the Olympic Formula https://www.jstor.or[...] 2022-07-11
[5] 문서 Republic of China at the 1924 Summer Olympics
[6] 서적 Les Jeux de la VIIIe Olympiade Paris 1924 – Rapport Officiel http://www.la84found[...] Librairie de France 2012-10-16
[7] 간행물 Globalization is not a Dinner Party: He Zhenliang and China's 30-Year Struggle for Recognition by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https://digital.la84[...] LA84 Foundation 2005-03
[8] 웹사이트 Could China stop Taiwan from coming to the Olympic Games? http://hnn.us/articl[...] 2022-07-11
[9] 논문 China and the Five Rings https://library.olym[...] 2022-07-11
[10] PhD Nationalism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Republic of China's Sports Foreign Policy-Making and Diplomacy from 1972 to 1981 https://www.proquest[...] Georgetown University 2022-07-11
[11] 뉴스 Taiwan Reaches Accord on Entry Into Olympics https://www.washingt[...] 2022-07-11
[12] 웹사이트 Hong Kong, China https://olympics.com[...] 2022-07-11
[13] 웹사이트 Macao Will Not Join Olympic Committee https://macaudailyti[...] 2022-07-11
[14] 웹사이트 China Is Undermining Its Own Taiwan Strategy https://thediplomat.[...] 2022-07-11
[15] 문서 1924년 하계 올림픽 중화민국 선수단
[16] 서적 Les Jeux de la VIIIe Olympiade Paris 1924 – Rapport Officiel http://www.la84found[...] Librairie de France 2012-10-16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